안녕하세요 여러분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아하카이브입니다. 연금 저축 기금에 대한 이전 기사에 이어 이 기사에서는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합니다. https://blog.naver.com/study_survive/222710145170
슈퍼 저축 계좌에 가입하지 않은 사람이 있습니까? 퇴직연금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안녕하세요… blog.naver.com
퇴직 적금 계좌 개설 방법
은퇴 저축 기금에 가입하기로 결정했다면 계좌를 개설할 중개 회사를 결정해야 합니다. 각 증권사별로 큰 차이는 없으나 간혹 간혹 사건사고가 발생하므로 어떤 증권사를 통해 계좌를 개설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런데 국민연금 가입은 누구나 가능합니다! 자격제한은 없습니다.) 삼성증권은 매입금액에 따라 현금보상금을 지급합니다. 연간 400만 원 투자하면 전액 세액공제 2만원 가능!
다음은 키움증권입니다. 오늘까지만 진행되는 캠페인이에요!캠페인 내용을 보면 매니저 연금 ETF 구매 금액에 따라 1만원에서 5만원까지 상품권을 드리는 캠페인인데요, 400만원 벌면 1만원 적립됩니다.
한국투자증권도 월 3회 10만원 이상 예치하면 1만원을 내고 복권을 증정하는 캠페인도 벌이고 있다. 누구나 한 달에 10만원을 받는다고 합니다.ㅋ
또 미래에셋증권, NH농협증권, 대신증권의 경우 현재 진행 중인 연금계좌 개설 활동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몇 년 전에 계좌를 개설했는데 어떤 활동을 했는지 기억이 잘 안나는데 제일 좋은 건 NH증권이라 거기서 계좌를 개설했어요. 이 글을 언제 보느냐에 따라 활동이 달라집니다. 증권사마다 큰 차이는 없지만 5,000원이나 10,000원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니 연금저축을 열기 전에 증권사별로 활동을 검색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ㅎㅎ 오늘 기준으로는 한국투자증권이 최고!연금저축기금 운용방안
자, 이제 은퇴 저축 계좌를 개설하셨죠? 그런 다음 돈을 저축해야합니다. 연금 총 저축한도는 연간 1800만원이지만 세액공제 한도는 연간 400만원이므로 연간 400만원만 저축하는 것을 추천한다. 계좌에 돈이 있다면 지금 구매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노후저축펀드 운용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즉,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퇴직 저축 포트폴리오는 현금 보유, 펀드 구매, ETF 구매 또는 REIT 구매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노인계좌이기 때문에 레버리지 ETF나 인버스 ETF를 매수할 수 없습니다. 현금 400만원을 예치하면 세액공제가 된다. 하지만 투자하고 돈을 굴리는 것이 세금 공제를 받는 것보다 낫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펀드, ETF, REIT 중 무엇을 사야 할까요? 개인적으로 뮤추얼 펀드보다 ETF를 사는 것을 추천합니다. ETF는 상장지수펀드나 상장지수펀드를 말하는데 펀드를 사서 운용수수료나 수수료를 내는 것보다는 ETF가 낫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ETF는 수수료나 수수료가 전혀 없지만 보통 펀드보다 저렴합니다.) (사실 저는 리츠에 대해 잘 몰라서 포트폴리오에 리츠를 넣는 건 고려하지 않습니다). 본토에 상장된 해외 ETF를 매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국내 상장 해외ETF를 일반계좌로 매입하면 매도할 때마다 15.4%의 배당소득세를 내야 하지만 국내 상장 해외 ETF를 연금저축으로 매입하면 매도 시 징수한 15.4% 배당소득세를 이연해 연금 수령 시 연금소득세에 반영하기 때문이다. (이전 글에서 보셨듯이 연금 소득세는 3.3%~5.5%입니다) 연금저축펀드는 장기간 운용되기 때문에 장기투자에 도움이 되는 상품을 구매하셔야 합니다!미국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추천드립니다. 미국 지수를 추적하는 ETF에는 여러 유형이 있습니다. 저는 S&P를 추적하는 ETF로 TIGER US S&P 500을 매수했고 나스닥을 추적하는 ETF로 TIGER US NASDAQ 100을 매수했습니다. (별 차이는 없지만 살 때 관리비가 더 저렴해서 선택했습니다.) 그리고 ETF 검색해보면 맨 끝에 H가 붙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헤지펀드용입니다. 여기서 울타리는 방어를 위해 울타리를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통화 헤징은 환율 변동 위험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통상 환율이 높을 때는 향후 환율 하락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환헤지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 좋고, 환율이 낮을 때는 향후 환율 상승을 예상하여 외환 익스포저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통화 헤징 상품의 비용은 상대적으로 높으며 장기 투자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또한 다양한 주제별 ETF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2차 전지를 주제로 한 ETF, 메타버스를 주제로 한 ETF 등 관심 분야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제가 아는 한 ETF와 호화주식 모음인 China Hang Seng Technology에 투자했고 신흥국에서 Nasdaq Bio와 MSCI도 소액 샀습니다. 현재 제 계좌의 전체 수익률은 -11%입니다 ㅎㅎ 제 포트폴리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S&P와 NASDAQ 추적 ETF가 급락했고(특히 NASDAQ), China Hang Seng Technology도 이전에 올렸는데 제가 매수한 이후로 전체 계좌의 수익률이 매우 낮습니다. ㅠ-ㅠ 올해는 연금저축에 100만원을 예치해서 S&P와 나스닥을 추종하는 ETF에 거의 다 썼습니다. 그래도 여전히 마이너스이기 때문에 상반기(6월) 전에 200만원을 더 입금하고 적립식으로 계속 매수할 생각입니다. 나는 다른 주식보다 S&P와 Nasdaq ETF를 사고 싶습니다. 연말까지 포트폴리오를 리밸런싱할 계획입니다. 지금은 몇몇 종목에 분산되어 있는데 ETF를 통한 다변화가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연말에 노후저축펀드에 대한 포스팅을 또 올리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