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철약차_#자소엽차_#자소엽(차즈기)_자소엽의효능_자소엽차만들기

드디어 자소엽을 수확하여 재철약차 인 자소엽차 를 만들었습니다.사실 작년부터 씨를 뿌렸는데 이상하게 나질 않아서 그만 어쩌질 못했는데 올해는 텃밭이웃이 모종을 주셔서  기쁜 마음으로 얻어다가 심었습니다.처음에는 자리잡느라 고생하는지 더디 자라더니 장마지나고 나니 부쩍 자랐습니다.드디어 자소엽차 을 먹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자소엽(차즈기)의 효능

꿀풀과 한해살이풀인 자소엽(차즈기)는 잎을 향신료나 채소로 활용합니다. 소엽(蘇葉), 자소엽(紫蘇葉), 자소(紫蘇) 등으로 다양하게 불립니다. 깻잎과 닮은 모양을 하고 있으며, 넓은 달걀 모양에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둥글며 가장자리는 톱니모양을 띠고 있습니다. 또한 양면에 솜털과 같은 털이 나 있습니다. 잎의 색은 자주색 혹은 초록색을 띠고 있으며, 색에 따라 소엽, 자소엽, 자소 등으로 다양하게 불립니다. 깻잎보다도 향이 강해 주로 향을 내는 허브 향신료로 쓰이는 것이 보통이지만 국내에서는 채소로도 즐겨 찾습니다. 자소엽 잎을 건조해서 달여 먹으면 소화불량에 좋고, 잎을 따서 쌈으로도 먹을 수 있습니다.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 자란 잎은 진한 보라색을 띱니다. 한방약재 자소엽(紫蘇葉)출처: 약학정보원

채취 및 가공여름철에 가지와 잎이 무성할 때 채취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그늘에서 말린다. 적응증(효능/효과)풍한감모(風寒感冒), 해수구오(咳嗽嘔惡), 임신 구토, 어해(魚蟹) 중독. 가벼운 열을 동반한 감기몸살, 기침구역질, 임신구토, 생선식중독, 염증개선용법용량내복: 전탕 4~12g, 외용: 적당량 도부(搗敷) 혹은 전수세(煎水洗). 즙을 내어 환부에 바르거나 씻어낸다장시간 전탕하여서는 안 된다.

소엽(蘇葉), 소경(蘇梗-줄기), 소자(蘇子-씨앗)의 비교【공통점】調氣(기운을 조화롭게 한다)【차이점】 蘇葉 – 表邪解散(표사해산)이 장점蘇梗 : 寬胸利膈作用(관흉이격작용)이 우수함蘇子 : 降肺化痰(강폐화담-降氣, 止咳平喘, 消痰)기침가래해소에 좋음약학정보원

자소엽(차즈기) 차 만들기자소엽차는 차로 만들어 가볍게 드실 수 있는 제철약차입니다.세척 및 시들기 맨먼저 약차로 만들 차잎을 따서 깨끗히 물로 씻어 물기를 빼주고 하룻밤 그늘에 말려줍니다.

2. 살청 센불에서 빠르게 덖어줍니다. 일명 숨죽이는 과정입니다.

3. 유념 손으로 비비고 공굴리듯 굴려가며 차잎을 부드럽게 만들어줍니다. 그래야 차가 부드러워지고 잘 우러납니다.

4. 건조  유념이 끝난 차는 3번~5번 정도 덖고 식히기를 반복해서 건조시켜 줍니다. 아래 사진을 보시면 부피가 줄어드는 모습이 보이실 겁니다.

5. 뜸들이기 하룻밤 낮은 온도에서 건조시킵니다. 마지막 수분까지 날려주는 과정입니다. 6. 수분체크, 향매기기마지막으로 제일 낮은 온도에서 뚜껑을 닫아서 두고 조금이라도 남은 수분은 없는지 확인하여 없애주며 차맛의 향이 깊어지도록 둡니다.7. 보관 소독된 유리병에 제습제를 넣고 밀폐 보관합니다.  1주일 보관 후 드시면 숙성된 향기로운 자소엽차 를 드실 수 있습니다.자소엽씨받기 자소엽 한그루는 남겨서 씨앗을 받고자 합니다. 2주 사이에 꽃이 피더니 씨앗이 맺히기 시작합니다. 아마도 10월 중순이면 씨앗을 채종할 수 있을 듯 합니다. 자소엽 꽃과 열매자소엽차 마시는 법자소엽차는 환절기에 잘 어울리는 차입니다.기온차이로 차칫 감기에 걸리기 쉬울 때 우려서 마셔주면 가벼운 열감을 땀꾸멍울 열어 배출시켜주면서 소화를 도와줍니다.1. 우려마시기물을 끓여 80도 내외의 온도에서 자소엽차 5g 정도를 넣어 우려서 마십니다. 2. 전탕 끓여마시기찬물에 자소엽 5g 정도를 넣고 물이 끓기 시작하면 불을 끄고 5분 후에 마십니다.향이 있는 약재나 약차는 물이 끓는 마지막 단계에 넣거나 우려서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자소엽은 향과 함께 가벼운 감기에도 도움이 되고 생선과 같이 드시면 소화에 도움이 되는 제철약차입니다.  생선회를 드실 때 자소엽을 곁들이거나 자소엽차를 마셔 주는 것도 상당히 도움이 됩니다.자소엽이 구하기 어려우시면 일명 깻잎이라 불리우는 소엽을 이용해서 차로 드셔도 도움이 됩니다.이상 약차 다리는 한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