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담우리들병원 학술대회 – 골화(석회화) 추간판 탈출증에 대한 내시경 디스크 수술의 적용 / 요추 4, 5번 경추 디스크의 국소마취 치료 / PELD, TELD

발표자 : 손선용 주치의 : 신상하 병원장 62세 남자 환자가 만성요통과 왼쪽 다리의 방사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허리 옆쪽에 쑤시고 불편한 통증이 있으며, 방사통은 허벅지, 종아리, 발바닥까지 저리고 당기는 증상입니다. 또한 항문과 낭종이 연결되는 부위에 덩어리 같은 통증과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그는 불편한 증상과 왼쪽 발이 떨어지는 증상을 동반해 30분 이상 걷기가 불가능한 절뚝거리는 상태로 병원에 왔다. 과거 12년 전 요추 4~5번 사이, 10년 전 요추 3~4번 사이 타병원에서 전신마취 디스크절제술을 받은 병력이 있습니다. 그 후에도 증상이 지속되었으나 지난 6개월간 증상이 악화되어 보존적 치료에도 효과가 없어 이곳에 왔습니다. 끝났습니다. 엑스레이 검사에서는 요추 추간판 공간이 크게 좁아지지 않았으며 특별한 소견도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CT 촬영상 좌측 제 4, 5 요추 추간공에 추간판 탈출 및 골화 된 조직이 관찰되었다. MRI 검사에서도 같은 부위에 같은 소견이 관찰됩니다. 병변 부위 근처에서 척수 신경이 병변에 의해 오른쪽으로 압박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최종적으로는 좌측 요추 4~5번 사이의 추간판 탈출 및 골화를 주병변으로 진단하였다. 이전 수술을 시행한 병변 부위에 유착이 있었기 때문에 전신마취 수술이 아닌 내시경을 통해 추간공을 통해 병변을 제거하기로 결정하였다. 끝났습니다. 일반적으로 골화된 디스크 조직은 내시경으로 치료하기 어려우나, 이전에 수술한 부위에 전신마취 및 절개수술을 무리하게 하지 않기 위해 내시경 수술을 시행하였습니다. 내시경을 통해 병변이 주변 조직과 유착된 정도를 확인하고 충분한 치료를 시행합니다. 안전하게 제거가 가능했습니다. 요추 4번과 5번 사이에 내시경 튜브를 삽입한 수술실 영상입니다. 수술 후 MRI 검사 결과 왼쪽 구멍 병변이 제거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수술 후 CT 스캔에서는 골화된 병변이 제거되고 감압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수술 후 첫날 기존 통증이 약 80% 정도 호전되었습니다. 발바닥의 작열감도 호전되었으며, 종합통증점수(VAS)도 7에서 2로 감소하였고, 환자는 보조기를 착용한 후 스스로 걷다가 퇴원하였다. 정기적인 진료와 재활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우리들병원은 매주 금요일 오전 국내외 병원을 영상망으로 연결해 의료진이 진료사례를 논의하고 최신 의료기법을 공유하는 ‘금요학술대회(금요대원격회의)’를 개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