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나지 않는 눈에 대하여 – 박찬일

박찬일을 만나지 않는 시선에 대해 내 뒤에는 여자가 앉아 있었다. 그녀는 예뻐 보였다. 나는 그녀 앞에 있었다. 내 뒤에 있던 여자는 몇 시간 동안 가야만 했어요. 그녀는 아마도 나를 보고 있을 것이다. 나를 바라보는 소녀를 위해 나는 숨을 쉬고 있다. (시를 읽는 남자) 타인에 비친 나의 모습… 존재론적 떨림모든 관계는 유혹이다. 길가에 핀 이름 모를 꽃을 바라보는 것도, 누군가의 뒷모습을 바라보며 흥분하는 것도 유혹이다. 산다는 것은 유혹에 빠지고 미혹되는 ‘나’와 ‘너’의 아름다운 동요와 동요이다. 국어사전에서는 유혹을 “마음을 어지럽히거나 나쁜 길로 인도하려는 유혹”, “성적인 목적으로 이성을 유혹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유혹하다”로 정의됩니다. 이것은 참으로 무미건조하고 무뚝뚝하며 불친절한 설명입니다. 시인은 인간의 몸과 마음을 촉촉하게 해주는 감각의 생기를 명태처럼 마르고 추악하게 만드는 국어사전의 일방적인 강요(?) 에 맞서는 사람들이다. 국어사전이나 도덕과 윤리는 인간의 속박에 맞서 비뚤어지고 싶은 순진한 마음을 드러내는 시적 마음이다. 유혹은 순수한 사람만이 할 수 있습니다. 더러워지면 사기입니다. 유혹은 삶이며, 그것은 우리가 잃어버린 모든 아름다움의 절반입니다. 박찬일 시인의 『만나지 않는 눈에』는 읽을수록 매력적이다. 잡담도 없고 수사도 없습니다. 언뜻 보면 이게 끝인가 싶을 정도로 공허한 느낌을 준다. 그런데 다시 읽어보니 뭔가 이상하네요. 에로틱함을 넘어, 에로틱한 열정이 막연하게 휘젓습니다. 나 역시 그의 시에 속수무책으로 매료되었다. 유혹이 조용할수록 그 유혹은 더욱 치명적입니다. ‘뒤’에 앉은 여자와 ‘앞’에 앉은 ‘나’ 사이에 흐르는 것은 침묵이다. 그 침묵은 내가 볼 수 없는 뒤에서 누군가가 나를 쳐다보고 있다는 사실 때문에 거침없이 긴장된다. 볼 수는 없지만 느낄 수 있는 여자, 그것이 바로 신비다. 또한 미스터리에는 약간의 두려움이 섞여 있습니다. 두려움이 없는 신비는 빛이다. 시인의 낭송인 “너는 아마 나를 보고 있을 것이다”는 내가 타인에게 모습을 드러낼 것이라는 설렘과 두려움을 동시에 담은 존재론적 떨림의 표현이다. 시인은 그 아득한 떨림을 은밀한 ‘숨’으로 은밀하게 내뿜는다. 보이지 않는 것, 알 수 없는 것에 대해 떨고 두려워하는 마음이 삶을 숭고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이 시에는 남녀 간의 사랑뿐 아니라 인간관계 전반을 아우르는 통찰이 담겨 있다. 아니, 인사이트라기보다는 화두라는 표현이 더 어울리는 것 같다. 그것이 바로 ‘유혹’이다. 나를 바라보는 모든 것들에 대한 반응으로 ‘유혹과 유혹’의 세계. 거기에는 삶의 애착이 있다. 두려움과 떨림, 신비로움과 아름다움 사이를 오가는 유혹 때문에 우리의 삶은 더욱 아름다워지지 않을까요? 프랑스의 섹시한 철학자 장 보드리야르는 “유혹은 항상 섹스보다 더 에로틱하고 숭고하다”고 말했다. . “그리고 우리가 가장 큰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이 유혹입니다.”라고 그는 단호하게 말합니다. ‘최고의 가치’라는 그의 말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유혹이 없는 세상은 비참하다. 너의 아름다움이 나를 유혹하고 나의 아름다움이 너를 유혹했던 사랑의 시절이 그리워./신종호 지음 승인 2017-09-12 20:07 신성호 시인 프로필 1964년 경기도 여주 출생 숭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1997년 현대시로 등단했으며, 시집으로는 『사람의 바다』, 『모든 환대와 약간의 환멸』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