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주택 혜택 신청 자격 및 금액

지난해 9월 발표된 보건복지부 보도자료에 따르면 기초생활보장 선정기준이 완화되고 급여가 늘어나는 2024년 주택급여 신청 자격과 금액이 발표됐다.

작년에는 자격을 갖추지 못하셨더라도 올해는 자격을 갖추실 수 있으니 꼭 확인해 보세요. 2024년부터 주택급여 신청 자격 및 급여액 확대 변경

정부의 기초생활보장 종합계획에서는 매년 주택급여 수급 대상자를 단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므로, 이번에 신청 대상이 아니더라도 매년 관심을 갖고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주택급여 신청 자격은 어떻게 바뀌었나요?

주택급여 신청 자격은 2022년 중위소득 46%, 2023년 47%였다. 2024년에는 48%에 이를 예정이다. 앞으로 점차 50%까지 확대될 예정이라고 한다. 1%씩 증가하고 있어서 숫자가 실감이 나지 않습니다.

중위소득은 우리나라 평균 소득수준을 말한다고 볼 수 있다. 중위소득 금액은 매년 정부가 결정한다. 그러나 여기서 소득은 근로소득, 사업소득뿐만 아니라 재산소득으로도 소득으로 환산됩니다. 3인 가구 기준입니다. 살펴보면, 2023년 중위소득은 4,434,816원으로, 월 2,084,364원(중위소득의 47%)을 초과하는 가구는 주택급여를 신청할 수 없었습니다. 그렇다면 2024년에는 주택 혜택 수혜 자격이 어떻게 변경되나요? 사실인가요? 2024년 중위소득은 3,682,609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기준이 중위소득 48%로 바뀌면서 3인 가구 기준 월 2,263,035원으로 바뀌어 더 많은 사람들이 주거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

월 소득 기준으로 3인 가구는 18만원 정도 더 벌어도 자격이 된다. 주택혜택은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다음으로 2024년 주거급여 금액을 살펴보겠습니다. 주거급여에는 낡은 집을 직접 수리할 수 있도록 주택개량 지원이나 장애인, 노약자 편의시설 설치 보조금 등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주택을 소유하는 것보다 비용이 저렴합니다. 임대가구에게 유리한 혜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거급여 금액은 일정 금액을 지급하는 생활급여와 ​​다릅니다. 소득인정액, 주택유형, 가구원수, 주거비, 주거면적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차등 지원한다. 예를 들어 3인 가구이고 서울에 거주하는 경우 2024년에 받을 수 있는 주거급여 최대액은 45만5천원이다. 이는 2023년 대비 14,000원 ​​오른 금액입니다. 최대 금액이라 이 금액을 모두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전세 또는 월세 계약을 맺고 거주하는 임대가구가 부담하는 실제 임대료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실제 임대료는 월세뿐만 아니라 보증금도 연 4%를 적용하여 월세로 환산하여 계산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3인 가구가 보증금 7천만원, 월세 10만원, 월세 보장된 집에 살고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때, 주거급여 상한액이 45,5000원이더라도 380,000원의 주거급여를 받게 됩니다. 다시 한번 정리하자면, 주택급여 금액은 월세 뿐만 아니라 보증금도 연 4%의 이자율로 환산하여 계산됩니다. 환산된 실제 임대료는 초과할 수 없습니다. 월세 10만원을 내고 주거급여 38만원을 받거나, 월세 60만원을 내고 45만5000원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급여에 따라 도시 지역에 거주할수록 주거급여 최대액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월세도 점점 오르는 시스템이에요. 월세 40만원을 내고 오피스텔에 살아도 서울에 살면 34만원, 수도권에 살면 21만6000원을 받는다. 물론 수도권은 서울권입니다. 그것보다는 생활환경이 더 좋을 것 같아서 반영한 것 같아요. 이사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일단 주택급여 수혜자로 선정되면 가구소득이 기준금액을 초과하지 않는 한 계속해서 주택급여 수혜 자격을 갖게 됩니다. 다만, 이사하는 경우에는 이사한 곳을 관할하는 주민센터에 전입신고를 하고 기본적인 혜택을 받아야 합니다. 또한 생계보장도 신고해야 합니다. 또한, 기초생활수급자이므로 다양한 정부지원 혜택을 추가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 LH임대주택 신청 시 가점을 부여하고, 하절기 전기세, 동절기 난방비 일부를 지원하였습니다. 통신비 할인, 곡물 할인 등 다양한 혜택도 있다. 2024년 주거급여 대상 여부를 확인하고 지역주민센터나 온라인 복지서비스를 방문해보세요. 여기에서 신청하세요~